본문 바로가기

llm5

'NPU 기술' 강소 테크기업 '파이팅' ㊤... "엔비디아보다 낫다" 리벨리온 ‘금융권 특화’ NPU, 사피온코리아 국내 최초 상용화 퓨리오 ‘데이터센터’용, 딥엑스 ‘엣지’와 ‘서버’용, 모빌린트 ‘엣지 컴퓨팅’용 삼성·LG 등 선점 속 강소 테크기업들, 국제 벤치마크로 부터 ‘기술 인정’ NPU 기술 분야에서 강소 테크 기업들이 선전하고 있다. 사진은 반도체 칩.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지금까지 인공지능 네트워크 연산에 사용되던 GPU나 CPU는 초대형 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서에선 연산 효율이 크게 떨어져 속도는 물론 에너지 효율도 반감되고 있다. 이에 최근엔 국내에서도 NPU(Neural Processing Unit, 신경망처리장치) 기술력이 향후 범용이 아닌 AI기술에 특화된 핵심기술로 꼽히고 있다. 특히 이 분야는 삼성.. 2024. 2. 12.
‘생성AI’ 등장 1년 ㊦...‘규제’와 ‘기술혁신’의 딜레마 EU, 미국 등 챗GPT 등 본격 규제, “기술발전과의 균형” 논란 ‘속도조절론’ vs ‘개발론’ 대결 AI저작권, 개인정보보호, 오류와 환각도 문제 오픈소스 기반 소형 모델 인기리 확산, ‘큐스타’ 등 AGI 비전도 제시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챗GPT를 필두로 오픈AI의 GPT-4, 구글 바드, 메타 라마2, 그리고 구글의 ‘제미나이’에 이르기까지 생성AI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이를 바라보는 지구촌의 시선도 복잡해지고 있다. 과연 AI가 인간에게 어떤 의미인가, 어느 선까지 이를 허용해야 할 것이며, 장차 어떤 폐해를 인류에게 안겨줄 것인가 등등의 고민이다. 이미 8일 EU의회는 2년 간의 내부 논란 끝에 ‘AI규제법’ 최종안에 합의했고, 이보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 역시 유연하긴 하지만, ‘AI.. 2023. 12. 11.
뒤늦었던 아마존도 “우리만의 생성AI 챗봇 개발” 세계 빅테크 간 ‘생성AI’ LLM 시장 경쟁 더욱 가열 전망 자체 챗봇 ‘Q’ 개발, "AWS 기반 클라우드 시장 장악력 높일 것"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오픈AI가 지난 6일 ‘데브 데이’를 통해 GPT-4 터보, ‘에이전트 AI’ 등으로 생성AI를 고도화했다. 이는 구글 Lamda 기반 바드의 고도화, 애플 온디바이스 AI, 그리고 삼성전자 역시 ‘가우스’를 출시하는 등의 후발 주자들의 추격을 견제하는 의미도 크다. 그런 가운데 비교적 개발 템포가 느렸던 거대 기업 아마존이 마침내 생성형 LLM 모델링 경쟁을 위해 칼을 빼들어, 향후 LLM 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지난 28일 아마존은 연례 데모 행사인 ‘리-인벤트’를 통해 새로운 기업용 생성AI 챗봇을 ‘Q’를 출시, 세계 .. 2023. 12. 1.
한국형 '생성AI' 생태계 구축 경쟁 '활활' 네이버·SKT 이어, 삼성SDS·카카오도 LLM 기반 서비스 예정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카카오 ‘Ko(코) GPT 2.0’ 등 자체 개발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네이버가 최근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전격 공개함으로써 한국형 생성AI 시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는 기존 모델인 하이퍼클로바를 고도화한 생성형 AI로 네이버가 보유한 50년 치 뉴스와 9년 치 블로그 데이터를 학습하며 국내 제도나 문화적 맥락까지 이해하고 소통하는 수준으로 개발된 한국어 특화 모델이다. 이에 외신도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뉴욕타임즈’(NYT)는 “한국의 네이버와 국내 경쟁업체들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하는 오픈AI와 알파벳의 구글과 같은 선두 주자들에 뒤처져 있는 반면, 미국과 중국의 거대 기..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