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2

국내 금융계 생성AI 도입·투자, “주요국 비해 크게 미흡” OECD 평균보다 낮아 “적극 도입으로 생산성 혁신 시급” 적극적인 투자·R&D, IT인력 중심 인력구조 등 서둘러야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글로벌 금융 분야에서도 생성AI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이를 실무에 도입하거나 기술투자를 위한 노력이 주요국에 비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국내 금융업의 IT 역량을 평가하였을 때, 해외 선진국과 비교하여 개선의 여지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관련 연구기관에 의하면 금융업 종사자 중 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인력의 비중은 해당 분야에서 앞서고 있는 미국, 인도 등에 비해서 매우 적다. 특히 금융투자업 전반을 놓고 보면, IT 관련 인적 자원이나 예산 비중도 주요국에 비해 매우 낮다는 지적이다. 이에 자본시장연구원 노성호 연구원은 “금.. 2023. 10. 8.
韓, 실버용 IT기술 국제표준화도 주도? 세계 최고령화 국가답게 실버용 IT기술도 가장 발달 고령자 일상생활 지원 국제표준화, 한국이 주도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초고령화가 심각하다보니, 관련된 실버용 ICT기술이나 헬스케어 기술도 발달한 상태다. 그런 가운데 이른바 고령자의 생활 환경을 지원하는 기술의 국제표준화도 한국이 주도할 정도다. 최근 열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하 능동형 생활지원(Active Assisted Living, 이하 AAL) 국제표준화회의에선 국내의 한 스타트업이 개발한 ‘고령자용 스마트스피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연세대 박은정 교수가 개발한 ‘커넥티드홈 환경에서 응급상황 전달 및 대응 시스템’ 등 2건의 표준안이 제안, 신규 국제표준안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 2023. 10. 5.